기업지원사례

3건 (1 / 1 페이지)

  • 1

    사례연도 -

    기업요구사항 ◦ 지원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결과, 부품설계교육(59점)이 선호도가 높고, 차 순위로 장비활용기본교육(58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기업 매출 규모로 분석하였을 경우, 20억원미만 기업은 특허 및 마케팅교육(33점) > 현장맞춤형장비, 부품설계, 장비활용기본교육(25점), 20억~100억원미만 기업은 현장맞춤형장비교육(54점)과 장비활용기본교육(50점)을 선호하고, 100억원 이상 기업은 장비활용기본교육(60점)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선호함.
    ◦ 전체 수요조사 기업 응답자 중 수출을 하고 있는 기업 21개사(27%)의 선호도는 특허 및 마케팅교육(52점)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장맞춤형장비교육 및 장비활용기본교육이 동순위로 나타남.

    지원내용 ○ 인력양성지원
    -장비활용기본교육
    ◦부품가공 기초기술습득을 위한 장비, 가공 및 설계관련 기본교육
    ◦재직자, 신규창업자에게 가공 원리 및 이론교육, 기본장비 운용교육을 통해 기초지식 및 기술 습득 교육 실시
    -부품설계교육
    ◦기계부품가공의 가공기술고도화를 위한 설계전문교육
    ◦CAD/CAM, CAE등 설계교육을 통해 설계전문인력 양성
    -현장맞춤형장비교육
    ◦가공 및 시험분석장비의 실습교육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기계부품가공관련 이론 및 실습교육 등
    -특허 및 마케팅교육
    ◦특허분쟁 등 사례 중심의 특허 교육 전문인력 양성
    ◦지식재산권 출원, 및 특허정보방법 등 지식재산권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호
    ◦마케팅 유형 소개와 분석 ,마케팅 전략 마인드 등 마케팅 역량 강화


    주요성과 1.시제품제작지원:8/3

    2.공정개선지원:3/2

    3.특허및인증지원:2/2

    4.장비활용지원:2/2

    5.전문가 컨설팅지원:2/2

    6.시험분석지원:3/3

    7.기술지도및이전:2/2

    8.홍보물제작지원:3/3

    9.마케팅지원:3/3

    11.컨설팅지원:3/3

  • 2

    사례연도 -

    기업요구사항 ◦ 지원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결과, 홍보물제작지원(73점)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내외판로개척지원(64점), 마케팅지원(59점)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남
    ◦ 기업 매출 규모로 분석하였을 경우, 20억원 미만 기업은 홍보물제작지원 및 국내외판로개척지원(75점), 마케팅지원(41점)이며, 20억~100억원 미만 기업은 국내외판로개척지원(86점), 홍보물제작지원(75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100억원 이상 기업 국내외판로개척지원(72점), 홍보물제작지원(68점)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남
    ◦ 전체 수요조사 기업 응답자 중 수출을 하고 있는 기업 21개사(27%)의 선호도는 국내외판로개척지원(81점) 으로 높게 나타났고, 홍보물제작지원(76점), 마케팅지원(58점)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남.

    지원내용 ○ 사업화지원
    -홍보물제작지원
    ◦기업의 홍보기반 강화 및 매출증진을 위한 각종 홍보물 제작지원, 홈페이지(국/영문, 리뉴얼 등), 제품 카달로그 및 리플렛, e-book 제작, 동영상 제작 등 비용 지원
    -국내외판로개척
    ◦신규시장 및 바이어발굴을 통한 국내외 신규시장 개척활동 지원
    ◦국내외 시장정보(기술 및 시장동향)을 제공하여 신규기술 개발방향 등 아이템선정을 위한 자료제공, 제품사업화 및 매출촉진을 위한 지원
    ◦KOTRA 등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관련시장 및 판로개척지원 등
    -마케팅지원
    ◦기업의 생산품, 브랜드, 기술 및 가공 생산품의 홍보 및 판매를 위한 전반적인 마케팅 비용 지원
    ◦신규 판로개척 및 대내외 인지도 제고를 위한 기업 홍보비용 전반
    -컨설팅지원
    ◦기업의 경영개선, 경영전략 수립, 금융 등을 위한 컨설팅 및 기술개발 등 기술경영에 대한 전문가 컨설팅지원
    ◦기술 관리와 생산, 품질관리 등 기술 전반 및 기업진단을 통한 경영에 대한 전문컨설팅 서비스 제공

    주요성과 1.시제품제작지원:8/3

    2.공정개선지원:3/2

    3.특허및인증지원:2/2

    4.장비활용지원:2/2

    5.전문가 컨설팅지원:2/2

    6.시험분석지원:3/3

    7.기술지도및이전:2/2

    8.홍보물제작지원:3/3

    9.마케팅지원:3/3

    11.컨설팅지원:3/3

  • 3

    사례연도 -

    기업요구사항 ◦ 지원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결과, 시제품제패키지지원(84점)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정개선지원(70점), 장비활용지원(64점), 특허 및 인증지원(63점)으로 높은 선호도가 나타남.
    ◦ 기업 매출 규모로 분석하였을 경우, 규모 20억원 미만 기업은 시제품패키지지원(91점) > 전문가 컨설팅지원(75점) > 시험분석지원(50점) 순이며, 매출 20억~100억원 미만 기업은 시제품패키지지원(90점) >공정개선지원(79점) > 특허 및 인증지원(68점) 순으로 나타났고, 매출 규모 100억원 이상 기업은 공정개선지원(91점) > 특허 및 인증지원(75점) > 장비활용지원(66점)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남.
    ◦ 전체 수요조사 기업 응답자 중 수출을 하고 있는 기업 21개사(27%)는 시제품패키지지원(87점) > 공정개선지원(80점) > 특허 및 인증지원(66점)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남.

    지원내용 ○ 기술지원
    -시제품제작지원
    ◦기계부품가공산업 관련 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시제품 제작 지원
    ◦우수기술 시제품 관련 설계, 해석, 제작 등 개발비용과 제작비용 지원
    ◦지역 내 장비활용을 통한 시제품 제작시 우대
    -공정개선지원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현장 컨설팅을 통한 맞춤형 공정개선
    ◦기계부품가공산업의 안정적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원
    ◦기계부품가공 생산공정 개선을 위한 시설 제작비 지원
    -특허 및 인증지원
    ◦제품 신뢰성 향상, 안전성 확보 및 성능인증, 표준화 인증
    ◦개발된 기술의 상표출원, 국내외 특허출원등록 지원을 통한 기업 보유
    기술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기업경쟁력 강화
    -장비활용지원
    ◦기 구축된 가공, 시험제작 및 분석 장비 등의 공용장비 활용을 통한 기업의 시제품 개발 촉진, 공용장비 활용의 활성화 유도
    ◦기계부품가공산업 관련 장비활용 지원을 통해 기업의 제품 개발 활동 지원
    -전문가 컨설팅
    ◦기계부품가공 기술습득을 위한 전문가 컨설팅 기술지원
    ◦기계부품설계, 해석, 제작을 위한 컨설팅 비용지원
    -시험분석지원
    ◦기계부품가공 기업의 기술 역량강화를 위한 고가시험분석지원
    ◦신제품 개발과 기존제품 성능개선을 위한 고가장비활용지원
    -기술지도 및 이전
    ◦기업 맞춤형 기술자문 및 기술지도 서비스 제공
    ◦기계부품가공산업 기업의 현장 애로기술 신속해결 지원

    주요성과 1.시제품제작지원:8/3

    2.공정개선지원:3/2

    3.특허및인증지원:2/2

    4.장비활용지원:2/2

    5.전문가 컨설팅지원:2/2

    6.시험분석지원:3/3

    7.기술지도및이전:2/2

    8.홍보물제작지원:3/3

    9.마케팅지원:3/3

    11.컨설팅지원:3/3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