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성연구센터

(재)FITI시험연구원

제공서비스

전력기반차 동력저장장치(배터리시스템) 구성 소재부품에대한 통합 패키지 기술서비스 지원

서비스 개요

기본이미지
서비스 유형 패키지 서비스
정부지원 대상 여부 정부지원대상
서비스 설명 - (지원품목) 전력기반차 동력저장장치(배터리시스템) 구성 소재부품 <br/> (품목 예: (부품) 배터리 모듈·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열관리 장치(TMS), 배터리 전력변환장치(인터터, 컨버터 등), OBC/LDC(충전모듈), 급속충전모듈 등 <br/> (소재) 배터리 셀(분리막, 약극재, 음극재 등), 팩간 격벽 난연 소재. 고내열성 Battery Tray Module, Pack Cover류 내화소재, 열관리용 상변화 물질 등 <br/> <br/>(서비스 지원 내용) <br/>- 주행안전 보강 소재·부품(+전장품)의 성능, 전기차 신뢰성 확보를 위한 ① 소재부품 설계, ② 고장원인 분석, ③ 내환경성/신뢰성 평가 지원, ④ 기구축 장비 상호연계 등 다양한 특화 분야 및 기술 컨설팅 지원 <br/> <br/>- (특화분야) ①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소재별, 공정별 변수 설정 및 자동화를 통한 성능 DB 구축 및 설계 최적화 지원 <br/> ② 실제 필드 소재·부품(+전장품) 고장원인 분석을 통한 신뢰성 향상 서비스 지원 <br/> ③ 고강도 경량소재 및 연계부품(+전장품)의 내환경성/신뢰성 평가 지원 서비스 지원 <br/> ④ 고장물리 기반으로 기성품의 주요 고장/열화 메커니즘 분석과 재현 검증을 위한 고장재현 시험법 설계지원 <br/> <br/>- (기대효과) 생산·평가단계별 전문기관 간 협업을 통한 불량요인 도출 / 성능·신뢰성 확보 등을 위한 서비스 다각화 <br/> <br/>- (활용계획) 구축된 플랫폼 인프라를 통한 관련 중소·중견기업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컨설팅 및 평가지원
서비스 설명 자료
분류 자동차운송 > 전기차 > 배터리패키징부품모듈
서비스 공정구분
세부공정 1. 설계단계 : HW(부품) 설계, 정보수집 및 기술분석 2. 개발단계 : 잠재고장모드 분석, 기초 성능평가, 신규 시험법 개발 3. 양산단계 : 양산성능 평가, 내구성/신뢰성 평가, 불량요인 도출 4. 사용전/사용 후 단계 : 품질관리 지원, 공정개선 지원
적용제품 배터리 모듈·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열관리 장치(TMS), 배터리 전력변환장치(인터터, 컨버터 등), OBC/LDC(충전모듈), 급속충전모듈 배터리 셀(분리막, 약극재, 음극재 등), 팩간 격벽 난연 소재. 고내열성 Battery Tray Module, Pack Cover류 내화소재, 열관리용 상변화 물질 등
서비스 운영기관 신뢰성연구센터
코디네이터 담당자 ㆍ성명 : 김형민 / 책임연구원
ㆍ소속기관 : 한국자동차연구원
ㆍ연락처 : 1533-0101(내선5), 041-559-3319
ㆍ이메일 : hmkim@katech.re.kr
서비스 담당자 ㆍ성명 : 이정현 책임 연구원
ㆍ연락처 : 02--3299--8144
ㆍ이메일 : but2korea@fiti.re.kr

서비스 상세내용

서비스공정 서비스 지원기간 서비스 설명 세부공정
1.1. 설계단계 0 ~ 3 개월
  • ⸱ 소재·부품 단위 3D 모델링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제품성능 조기예측 및 설계최적화 지원 <br/>⸱ 소재·부품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공정 설계 지원
  • HW(부품) 설계
  • 정보수집 및 기술분석
2.2. 개발단계 0 ~ 3 개월
  • ⸱ 개발단계 시제품의 사용 환경에 따른 잠재적 고장모드 사전분석 <br/>⸱ 시제품에 대한 기초 물성평가를 통한 개발단계의 제품화 타당성 검증 지원 <br/>⸱ EV/HEV 사양 적용에 따른 신규 부품(+시스템)의 성능 검증법 개발
  • 잠재고장모드 분석
  • 기초 성능평가
  • 신규 시험법 개발
3.3. 양산단계 0 ~ 3 개월
  • ⸱ 양산단계 생산공정 조건에 따른 품질기준 적합성 검증 지원 <br/>⸱ 필드사용 장기 내구성 검증을 위한 파워트레인 신뢰성(+내환경성) 평가 지원 <br/>⸱ 공정단계 불량요인 도출을 통한 개선 가이드라인 제시
  • 양산성능 평가
  • 내구성/신뢰성 평가
  • 불량요인 도출
4.4. 사용전/사용 후 단계 0 ~ 3 개월
  • ⸱ 품질관리 및 공정개선을 통한 생산기술정보 DB 지원 ⇢ 생산 최적화 방안 도출 <br/>
  • 품질관리 지원
  • 공정개선 지원
  • 서비스공정
    1.1. 설계단계
    서비스 지원기간
    • 0 ~ 3 개월
    서비스 설명
    • ⸱ 소재·부품 단위 3D 모델링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제품성능 조기예측 및 설계최적화 지원 <br/>⸱ 소재·부품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공정 설계 지원
    세부공정
    • HW(부품) 설계
    • 정보수집 및 기술분석
  • 서비스공정
    2.2. 개발단계
    서비스 지원기간
    • 0 ~ 3 개월
    서비스 설명
    • ⸱ 개발단계 시제품의 사용 환경에 따른 잠재적 고장모드 사전분석 <br/>⸱ 시제품에 대한 기초 물성평가를 통한 개발단계의 제품화 타당성 검증 지원 <br/>⸱ EV/HEV 사양 적용에 따른 신규 부품(+시스템)의 성능 검증법 개발
    세부공정
    • 잠재고장모드 분석
    • 기초 성능평가
    • 신규 시험법 개발
  • 서비스공정
    3.3. 양산단계
    서비스 지원기간
    • 0 ~ 3 개월
    서비스 설명
    • ⸱ 양산단계 생산공정 조건에 따른 품질기준 적합성 검증 지원 <br/>⸱ 필드사용 장기 내구성 검증을 위한 파워트레인 신뢰성(+내환경성) 평가 지원 <br/>⸱ 공정단계 불량요인 도출을 통한 개선 가이드라인 제시
    세부공정
    • 양산성능 평가
    • 내구성/신뢰성 평가
    • 불량요인 도출
  • 서비스공정
    4.4. 사용전/사용 후 단계
    서비스 지원기간
    • 0 ~ 3 개월
    서비스 설명
    • ⸱ 품질관리 및 공정개선을 통한 생산기술정보 DB 지원 ⇢ 생산 최적화 방안 도출 <br/>
    세부공정
    • 품질관리 지원
    • 공정개선 지원

공정별 지원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