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로이드(주)
OrgaNest Basic Plus
9년
주장비
분석
화합물 전처리·분석장비 > 바이오제조/분석장비 > 배양장치
공동활용서비스
2024-09-30
60,500,000원
없음
바이오프린팅을 위한 세포원 확보는 상당한 노동력과 배양기간을 요구하며, 오가노이드 기반의 세포원을 준비하려면 재현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까다롭습니다. 본 장비를 통해 확보한 대량의 세포원을 기반으로, 상용 바이오프린터를 이용해 고정밀도의 복잡한 3D 생체 조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재생 의학 및 조직 공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입니다. 본 과제의 목적은 바이오프린팅 센터의 원활한 운영에 있으므로, 오가노이드 자동배양장치를 통해 세포원 확보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기구축된 바이오프린터의 활용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장비를 사용하여 인체 조직과 유사한 3D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신약개발이나 독성 테스트 등에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맞춤형 장기 및 조직 모델의 신속한 제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생성된 모델의 성능을 빠르게 평가하고 질병 진단 및 치료 방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 것으로 판단됩니다.
1. 다종의(4종 이상) 배양배지 교체 주입 기능: 대다수의 오가노이드 배양 프로토콜에는 다종의 배양배지가 적합한 시기에 순서에 맞게 주입되어야 하므로, 자동으로 배양배지를 변경하여 주입할 수 있는 기능.
2. 실시간 배양상태 광학 모니터링 기능: 자동 배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배양 진행 상태를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오가노이드의 광학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
3. 배양 공간의 온/습도 모니터링 기능: 오가노이드 자동배양 시스템이 장착되는 CO2 배양기에 장착된 온/습도 센서는 CO2 배양기 챔버 전체의 평균적인 온도만을 모니터링하며, 배양자동장치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국소공간의 온도가 변동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없음. 따라서 실제 사용자는 세포가 배양되는 국소적인 공간의 온/습도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함. 본 장비는 CO2 배양기 내부에 설치하여 배양하는 장비이므로 일반적으로는 CO2 배양기 내부의 센서를 통해 온도/습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밀폐된 CO2 배양기 내부에 자동 배양 장비가 설치되는 경우 장비 구동요소에 의하여 내부 온도가 국소적으로 승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국소적인 온도/습도 변화는 배양기 챔버 전체를 모니터링하는 CO2 배양기의 센서로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배양환경에 극단적으로 민감한 오가노이드 배양의 경우, 사소한 온도/습도 차이도 배양 결과에서 큰 차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세포 배양공간에 근접하게 위치한 모니터링 센서가 요구됨.
4. 독립 운용 가능한 (배양배지 주입/배출) 배양공간(6개) 및 독립적으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채널(14채널): 다수의 오가노이드가 배양되는 배양 용기 내균질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배양액 주입/배출 채널이 필요하며, 각 채널에 균등한 양의 배양액을 주입/배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재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실험용 well plate 내 well의 최소수량은 6개이므로, 최소 6개 이상의 독립적인 배양액 주입/배출을 위한 12채널 이상의 배양액 주입/배출 기능이 요구됨.
기관의뢰
고정형
시간별
[Hr] 5,000원
본 장비는 바이오프린팅에 있어 원자재에 해당하는 스페로이드를 양산할 수 있는 장비로, 자동화 된 배양 과정을 통해 균일한 스페로이드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재현성 높은 바이오프린팅 실험을 위해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바이오프린팅으로 생산하기 위한 조직 모듈의 크기 및 규모가 커질수록 바이오프린팅 실험에 필요한 스페로이드(혹은 오가노이드)의 양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배양 자동화 장비의 필요성 또한 높아지는 실정입니다. 본 장비를 이용할 경우 세포원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져, 동물대체시험평가용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 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외부로부터 오염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GMP 시설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GMP 시설 내 입주한 바이오프린팅 연구팀에 의하여 공동으로 운영되어 바이오프린팅 실험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배양공간 내 배양배지 주입 기능
1) CO2 incubator 내 설치되는 기구의 외형 (mm): 310 x 300 x 246
2) 배양공간 내 독립적으로 유량 조절 가능한 channel 수: 최대 12 channel
3) 독립 운용 가능한 (배양배지 주입/배출) 배양공간 수: 최대 6개
4) 주입/배출량 조절범위: 5 μL/h ~ 265 uL/h
▸배양 상태 실시간 광학모니터링 기능
1) 광원 최소 요구사항: 백색 LED (Bright field)
2) 배율: 4 배 이상
3) 관찰가능공간(mm): 128 x 87 x 20
4) 온도 모니터링 분해능: 최소 0.1 ℃
5) 습도 모니터링 분해능: 최소 RH 0.1%
▸배양배지 냉장 보관 기능
1) 냉장 온도: 2℃ ~ 8℃
2) 교체 가능한 배양배지 종류 수: 최대 4종 (자동 교체 기능 포함)
▸제어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1) 공급 전원: 200~240V, 150W
2) 제어기 CPU: Intel i5
3) 제어기 RAM: DDR4 32GB
4) 제어기 저장장치: 1TB
5) 제어기 내 Bluetooth, Wi-Fi 통신 기능 내장
6) 제어기 내 USB 3.1 포트 제공
7) 사용자 인터페이스 용 10-inch android tablet 포함
8) GUI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