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레드
NEO-PRO-090-2000-EOL-2CH
10년
주장비
시험
전기·전자장비 > 측정시험장비 > 전지/충방전측정시험장비
공동활용서비스
2025-01-10
567,120,830원
KC 10031,ISO12405-4,KBIA-10104-01,02,KS C IEC 62619, 62620
- 본 장비는 사용 후 배터리의 다목적 성능 및 신뢰성을 검사하기 위한 시험 장비이며, 특히 KC 10031 표준에 의거한 6가지 항목의 시험(개방회로전압, 절연검사, 용량검사, 내부a.c저항검사, 내부d.c저항검사, 자가방전 검사)을 GUI를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 가능케 함
- 사용 중/사용 후 배터리의 상태 진단 및 잔존 가치 평가, 이력 관리
- 사용 후 배터리 전수 검사 시, 품질 및 성능 요구 사항 평가하기 위함
- 배터리 팩의 상태와 출력, 용량수명, 충전량 등을 확인하고 최종 배터리 등급 평가 가능. 교류 임피던스 측정기의 경우 배터리 최대 충전율(SOC), 배터리 열화정도 등 상관관계를 측정
- 주파수별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의 응답 특성을 해석하여 저항 (Resistance), 커패시턴스 (Capacitance), 인덕턴스 (Inductance) 등으로 구성된 임피던스 모델 선정 및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내부 임피던스 계산
사이클러부 : Output voltage : 0 ~ 2000Vdc, Voltage accuracy : ±0.02% F.S., Max. Current : 180A / CH, Current Accuracy : ±0.02% F.S.
AC-IR 측정장치 부: Resistance accuracy : 0.3%, Resistance range : 0.1 uΩ - 3kΩ, Voltage accuracy : 0.01%, Voltage range : 10uV - 1500V, Frequency : 1kHz
절연저항 측정장치 부 : Measuring Voltage : DC 10 – 1500V 1.8mA
배터리 팩 내부 BMS가 보유하고 있는 이력 또는 실시간 정보를 활용 가능토록 개발하여, 현재 배터리 상태를 신속하게 진단하고자 함, BaaS 어플리케이션 이동형 ESS 배터리 팩에 대한 정기적 잔존가치 평가 및 데이터 예측을 통한 SOH (State of Health), SOL (State of Life) DB 마련, 이력관리 DB를 데이터 플랫폼과 연동하여 정기적 Management 서비스 제공 가능함
기관의뢰 직접사용
이동형
시간별
[Hr] 32,000원
- 본 장비는 사용 후 배터리의 다목적 성능 및 신뢰성을 검사하기 위한 시험 장비이며, 특히 KC 10031 표준에 의거한 6가지 항목의 시험(개방회로전압, 절연검사, 용량검사, 내부a.c저항검사, 내부d.c저항검사, 자가방전 검사)을 GUI를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 가능케 함
- 사용 중/사용 후 배터리의 상태 진단 및 잔존 가치 평가, 이력 관리
- 사용 후 배터리 전수 검사 시, 품질 및 성능 요구 사항 평가하기 위함
- 배터리 팩의 상태와 출력, 용량수명, 충전량 등을 확인하고 최종 배터리 등급 평가 가능. 교류 임피던스 측정기의 경우 배터리 최대 충전율(SOC), 배터리 열화정도 등 상관관계를 측정 가능
사이클러부/AC-IR 및 OCV 측정장치부/절연저항 측정장치부/BMS 데이터수집장치부/릴레이 자동절체 스위치 부/통합제어기 부/통합제어 S/W부/케비넷 및 기타 부속류로 구성되어 있음.
- 코나, 니로, 포터2, 봉고3, 아이오닉5, 아이오닉6, EV6, GV70, GV60” 차종에 대한 최소 500ms 이하의 주기로 실시간 배터리 팩 BMS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
- 통합제어기 부와 연동하여, 배터리 팩 BMS 정보를 배터리 충·방전 사이클 시험 시 보호기능 동작 기능 가능
- 2CH, 최대 2000V 이상 및 최대 180A 이상(병렬 연결 시, 360A 이상 가능)
- 최대 ±90kW / 1CH 이상, 최대 ≥ ±180kW / 2CH 이상 가능
- Resistance range : 최소 0.1 uΩ 이하에서 최대 3kΩ 이상 가능
- Measurement range : 최소 10kΩ 이하에서 최대 1000 MΩ 이상 구현 가능
- 통합제어기 부와 연동하여, 배터리 팩 BMS 정보를 GUI에서 모니터링 가능함(NI 소프트웨어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