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에프엠엔지니어링(JFM Engineering)
JFMA-014
11년
주장비
시험
기계가공·시험장비 > 재료물성시험장비 > 환경모사시험기
공동활용서비스
2024-12-23
480,830,208원
없음
배터리의 환경부식 평가를 위한 염수분무시험, 온도급변 결로시험 등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화재안전 통합시스템이 함께 구성되어 있음. 대형염수복합부식시험기는 온도조절, 습도조절, 염수분무 등이 가능하며 온도급변 결로시험기의 경우 온도조절, 습도조절, 이슬점 제어, 발열보상, 급속온도변화 시험 등이 가능. 배터리 화재 통합대응 시스템의 경우 이러한 배터리 시험 시 안전을 위한 소화장치, 집진장치로 구성되어 화재 사고 피해를 저감 및 예방하는 기능이 있음.
중·대형 배터리 팩의 복합염수부식시험 및 결로시험을 위한 장비로 배터리 모듈 및 팩에 대한 복합염수부식 및 결로에 따른 부식의 평가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함.
IEC 60068-2-11, IEC 60068-2-52(시험방법 1~8), KS D 9502 등 다양한 염수분무 국제 규격시험 뿐만 아니라 염수복합부식 시험과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에 대한 주기적 전원 인가 및 사이클 연속 결로 시험 수행가능하며 아래와 같이 구성됨
(1) 대형염수복합부식시험기
a) 내부크기(시험공간): 3,000(W) × 2,000(D) × 1,200(△1,800) (H) mm
b) 온도 범위: -20℃ ~ +80℃ 이상
c) 온도 상승: 상온 -> +80℃, 3℃/min 이상 (무부하)
d) 온도 하강: 상온 -> -20℃, 2℃/min 이상 (무부하)
e) 습도범위: 30 ~ 95 %R.H. 또는 그 이상
f) 습도시험 시 온도제어 가능 범위: +30℃~+80℃ 이상
g) 염수분무사양: 총 10개 노즐, 1~2ml/80㎠/hr
(2) 온도급변 결로시험기
a) 내부크기(시험공간): 1,100(W) × 1,300(D) × 900(H) mm 이상
b) 온도 범위: -70℃ ~ +180℃ 이상
c) 온도 상승: 평균 20℃/min 이상 (무부하)
d) 온도 하강: 평균 20℃/min 이상 (무부하)
e) 발열 보상: 최대 8,000W
f) 습도범위: 10 ~ 98 %R.H. 또는 그 이상
g) 습도시험 시 온도제어 가능 범위: +10℃~+95℃ 이상
⦁최저 온도 및 습도: +10℃ / 10% 이상
⦁최고 온도 및 습도: +90℃ / 95% 이하
h) 이슬점 온도 제어 가능 범위: -20℃~+94℃ 이상
(3) 배터리 화재 통합대응 시스템: 배터리 시험 시 안전을 위한 소화장치, 집진장치
기관의뢰
고정형
시간별
[Hr] 54,000원
중·대형 배터리 팩의 복합염수부식시험 및 결로시험을 위한 장비로 배터리 모듈 및 팩에 대한 복합염수부식 및 결로에 따른 부식의 평가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함.
IEC 60068-2-11, IEC 60068-2-52(시험방법 1~8), KS D 9502 등 다양한 염수분무 국제 규격시험 뿐만 아니라 염수복합부식 시험과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에 대한 주기적 전원 인가 및 사이클 연속 결로 시험 수행 가능
○ 대형복합부식시험
- 내부 크기: 10,000L 이상
- 온도 시험 범위: -20℃ ~ +80℃
- 습도 시험 범위: 30% RH ~ 95% RH
- 온도 변화율
• 가열: 상온 → +80℃ ----- 3.0℃/min
• 냉각: 상온 → -20℃ ----- 2.0℃/min
- 염수 분무량: 1~2ml(/80cm2)/hr
○ 온도급변+결로시험
- 온도 시험 범위: –70℃ ~ +180℃
- 습도 시험 범위: 10%RH ~ 98%RH
- 결로 시험(Condensation Test) 수행 가능
○ 배터리 화재 통합대응 시스템
- 챔버 안전 통합관리형 소화설비장치
- 자동 소화 시스템
• 온도/불꽃 센서 등 화재 감지 장치 및 스프링클러 소화 장치 적용
• 작동 방식: 1차 감지시 부저 작동 → 2차 감지시 소화장치 자동 작동(스프링클러)
• 정전 시에도 감지 및 소화 설비 작동 가능: 1시간 이내
- 자동 배기 시스템
• 기계식 배기 댐퍼(Release Flap), 방폭 벤트, 에어 퍼징 장치 적용
- 집진 장치
• 적합한 용량의 집진장치 공급 및 배기덕트와 장비간 연결